제어문에 대해 알아보자
조건문과 반복문
조건(condition)의 길이에 따라서 코드가 결정됨
if문과 switch문으로 나눠진다.
if문
if( 조건식 ) {
}
조건식은 항상 boolean값으로 나오도록 작성해야한다
참이라면 중블럭{ }안에 식을 실행, 거짓이라면 명령을 무시하라는 뜻
if(b == “남”) {
} else {
}
else문 옆에는 절대 조건문이 들어오지 않음
위에 참이면 if 중블럭 실행, 아니라면 else 중블럭 실행
if와 else if로 작성한 코드
if(score >= 90) {
}
else if(score >= 80) {
}
else if(score >= 70) {
}
else {
}
다수의 if로만 작성한 코드
if(score >= 90) {
}
if(score >= 80) {
}
if(score >= 70) {
}
else {}
두번째 경우 cpu가 if마다 관여하여야 하므로 cpu 과부하, 효율성이 굉장히 떨어지는 코딩
첫번째 경우는 첫 if에서 실행이 되고 나면 아래 else if부터는 무시하게 됨
예를 들어 else에서 실행되는 경우 특히나 두번째 경우에는 cpu가 모든 if를 거친 뒤 else로 가므로 매우 비효율적이다
조건 연산자 = 삼항 연산자
var score = 75
(score >= 60) ? alert(“통과”) : alert(“실패”);
조건 조건이 참일때 실행 조건이 false일때 실행
?와 :를 기준으로 피연산자가 3개이므로 삼항이라고 하는 것임
3항의 각 기능은 코드 바로 밑의 설명을 읽으면 된다.
위 삼항 연산자를 if문으로 다시 써보면 아래와 같다.
if(score >= 70) {
alert(“통과”);
} else {
alert(“실패”);
}
유효성 검사란?
null이 아니어야 연산이 진행되므로 유효성을 체크해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주겠단 뜻이다
중첩 if문
if(userNumber != null) {
if () {
}
}
위와 같이 if안에 if문이 또 나타나는 것을 중첩 if문이라고 부른다
switch문
if문과 switch문이 차이
switch문은 한정된 데이터를 가지고 선택할 때 (eg. 동서남북, 부서, 사계절…)
모든 switch문은 if문으로 변경이 가능하지만모든 if문은 switch문으로 변경이 불가능하다
switch문이 구성은 아래와 같다 (default는 선택사항이다)
switch -> case -> break -> default(해당 case가 없을때 실행문 넣는 자리)
break없으면 case를 다 출력하게 되므로 주의하자!
'문과생애긔개발자_공부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04 (조건문, 반복문) (0) | 2022.06.19 |
---|---|
Javascript 02 (연산자) (0) | 2022.06.11 |
Javascript 01 (자료형) (0) | 2022.06.11 |